강태공
비대면 시대를 위한 제대로 된 강의 가이드
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이제는 너무 익숙해진 비대면 생활이지만 그저 낯설지 않게 되었을 뿐, 정확 신속한 비대면 생활 양식의 정착은 멀기만 하다. 학교 생활이라고 다르겠는가. 코로나 초기는 물론이요, 1주년이 넘은 지금까지 비대면 강의는 중구난방으로 진행되기 십상이다. 강태공 팀이 ‘제대로 된’ 비대면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가이드북을 제작한 이유다.
처음 가보는 길인 건 알지만, 그래도 너무 속상해
사실 코로나 이전만 하더라도 비대면 영상 강의나 재택 근무는 한국 사회에서 꿈같은 별나라 이야기였다. ‘온라인 강의’는 많았어도, 학교 정규 강의를 매번 비대면으로 진행한다는게 상식적인 발상이었던가? 하지만 코로나는 우리 삶의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고, 비대면은 아예 일상이 되고 말았다. 문제는 아무도 걸어보지 않은 길이었기에 시행착오가 심각하게 많았다는거다.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님도 그랬지만, 온라인 강의에 익숙했던 학생들조차 비대면 강의는 너무도 낯선 것이었다. 온라인 강의를 ‘시청’하는 법은 알아도, ‘참여’하는 법은 모를 수 밖에 없었으니까.
“달라야 하잖아요. 비대면은 대면 수업과 방식이 같을 수 없어요. 넓은 강의실에서 대형 칠판에 필기하는 교수님을 보는 게 아니고, 목소리가 쩌렁 쩌렁 울려 퍼지는 마이크로 강의를 듣는게 아니에요. 좁은 모니터에 뚝뚝 끊기는 화질만 해도 성가신데, 수업방식마저 대면수업방식을 그대로 적용해서 정말 학업에 지장이 컸어요.”
김지운 팀장은 비대면의 ‘악몽’을 떠올리면서 한숨을 쉬었다.
얼굴도 제대로 안보이는 화면속에서 어디서부터 필기해야 하고 어디서부터 교재를 들춰 보아야 할지도 모르는 강의 호흡을 따라가기만도 벅찼다. 학생들은 학생들대로 긴장감이 풀려 영상만 켜놓고 ‘해찰’을 하는 통에 수업은 엉망이었다. 때문에 학우들은 1학기 내내 엉성한 화질, 엉키는 목소리, 언제 끊길지 모르는 접속 상태와 전달력이 멸망한 피드백 등에 시달리며 얼기설기 학점을 채워야만 했다. 그리고 2학기에도 비대면 수업은 획기적인 발전없이 그대로 진행됐다. 리빙랩 수업에 참여한 이들이 ‘비대면 강의 가이드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낀 것도 무리가 아니란 말씀.
“가이드북 제작을 위해 구글 폼을 이용해 학우들에게 설문 조사를 펼쳤는데, 문제를 저희만 느낀 게 아니더라고요. 재밌는 점은 교수님들도 적지 않은 고통을 겪고 계셨다는 거예요. 대면수업에서는 좋은 평을 받으시던 교수님이 비대면 수업 강의 평가는 혹평을 받는 경우도 있었죠. 그때부터는 학생 시선으로만 문제를 바라보지 않고, 비대면 강의 전체를 아우르는 매뉴얼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개인의 의지가 뭉쳐 만든 더 나은 미래
학생과 교수를 가리지 않고 고통을 호소하던 문제인만큼, 이들의 계획은 큰 호응을 얻었다. 당초 게임콘텐츠학과 학생 3명과 지도교수 1 인이 소박하게 기획한 아이디어였지만, 도움을 주고자 선뜻 손을 내민 학우들의 재능 기부와 교수님들의 조언이 더해지면서 프로젝트 완성에 탄력을 받았다. 지면 인터뷰에 응해주신 교수님만도 10명이나 됐다.
“교수님들의 인터뷰는 실습 강의와 이론 강의 두 갈래로 나눠 진행했어요. 성격이 다른 강의여서 방식도 크게 차이가 날거라고 생각했어요. 또 교수님 입장에서 겪는 어려움도 면밀하게 이해하게 됐어요. 대면 강의와 달리 학생들의 리액션이 없다시피 하고, 질문 답변도 호응도가 확연히 뗠어지는 문제가 있더라고요. 가르치는 입장에서 의욕이 확 꺾일 수밖에 없죠.”
학생들에게 진행한 설문조사 항목도 체계적으로 정리해 원고화했다. 가이드북의 판형과 분량도 내용에 맞춰 A5 사이즈에 96페이지로 정했다. 학생 차원을 넘어 학교의 정식 책자로 발행할 수 있도록 학교 측에 협조를 요청해 허가도 얻었다. 그렇게 완성된 가이드북은 총 100 부.
2020년의 ‘교훈’을 집대성한 이 책은 다가오는 신학기에 새내기들은 물론 전주대 구성원 모두를 위한 지침서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설사 코로나가 끝나더라도, 비대면 영역은 꾸준히 확장될거란 전망이 많아요. 또 다른 감염병이 창궐하는 경우에는 금쪽같은 매뉴얼이 될 거고요. 전주대만이 아니라 다른 학교에도 전파해 좋은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라요.”
가이드북의 편집 기획을 진행한 정우영 팀원은 프로젝트 초반에는 성과 달성에 큰 자신감이 없었다. ‘학생 개인이 모인다고 큰 변화가 가능 할까?’ 라는 의문이 머릿속을 맴돌았다. 하지만 리빙랩은 정 팀원은 물론 강태공 팀에게도, 이들의 활동을 응원하고 도운 여러 학우들에게도 소중한 자신감을 새겨줬다. 학생 3명의 의지가 여론이 되고, 더 나은 미래를 여는 발판이 되었다는 것, 그 뿌듯함이 강태공 팀이 낚은 최고의 대어가 아니겠는가.
Step Forward
1. 문제 찾기
- 2020년은 코로나19의 발생으로 1, 2학기를 모두 비대면 강의로 진행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준비되지 못한 비대면 강의의 피해는 학생들이 입게 되었고, 이는 교육권 침해로 인식하였다.
2. 문제 분석
- 비대면 강의가 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했던 이유는 갑작스럽게 실행된 비대면 강의로 인해 교수님들도 충분히 준비를 못했고, 비대면 강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없었기에 대처를 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3. 해결책 제시와 실행
- 비대면 강의를 진행하면서 학생들이 느꼈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가이드북을 제작한다. 제작한 가이드북은 교수님들께 배부하여 학생들이 느꼈던 문제점을 비대면 강의에 반영하여 개선할 수 있게 한다.
4. 아이디어 확장·개선
- 시간과 인력 등의 제약으로 인해 학생의 입장에서 느꼈던 점 위주로 가이드북을 제작하였지만, 완벽한 가이드북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 교수, 학생 모두의 입장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