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테이블 프로그램 안내
지역혁신센터에서 2022년도 후반기에 새롭게 마련한 오픈 테이블 프로그램을 안내합니다. 프로그램 기획 의도 지역혁신센터에서는 홈페이지를 개설한 20221년 후반기부터 오랜 시간을 들여...
지역혁신센터에서 2022년도 후반기에 새롭게 마련한 오픈 테이블 프로그램을 안내합니다. 프로그램 기획 의도 지역혁신센터에서는 홈페이지를 개설한 20221년 후반기부터 오랜 시간을 들여...
본 프로그램은 대학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새로운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지역혁신센터에서는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고 받는 다양한 이슈에 대해 학생들이 자유롭게...
일상생활의 실험실이란 뜻의 리빙랩은 ‘사용자, 즉 시민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주도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개방적 혁신 실험의 환경’, 또는 ‘사용자 주도의...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벤처정신으로 사회문제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기업모델 사회적기업과 목적 및 운영원리는 유사하지만, 정부인증을 받아야 하는 사회적기업과 단리 소셜벤처는 다양한...
지역혁신센터에서는 대학 내 구성원들의 일회용 플라스틱 소비를 줄이고, 재활용을 위한 분리배출의 중요성 홍보를 위해 회수된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재활용...
문화와 문화를 잇는 세 가지 방법교내 특성화사업단 단일학과 리빙랩 프로젝트 나라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줄어든 글로벌시대라지만, 사람 사이의 심리적 거리는...
전주 사람도 몰랐던, 전주 가맥 맛집을 찾아서교내 특성화사업단 단일학과 리빙랩 프로젝트 동네 구멍가게에 플라스틱 탁자 들여놓고, 시원한 병맥주와 간단한 요깃거리를...
구석구석 기자촌의 발자취를 따라교내 특성화사업단 단일학과 리빙랩 프로젝트 전주 중노송동에 위치한 ‘기자촌’은 오래된 마을 임에도, 지역사와 생활상을 담은 기록을 거의...
수학, 알고 보면 어렵지 않아요교내 특성화사업단 단일학과 리빙랩 프로젝트 수학시간이 다가오면 밖으로 도망치고 싶어진다는 아이들을 위해, 수학교육 과 창의융합형 Education...
사회를 이롭게 바꾸는 공학교내 특성화사업단 단일학과 리빙랩 프로젝트 정밀하고, 정확하고, 정직한 것. 공학이란 단어를 들으면 이런 기계적인 느낌이 든다. 하지만...
한 권으로 충분해요 ‘원 북 원 전주(one book one jeonju)’교내 특성화사업단 단일학과 리빙랩 프로젝트 책을 읽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좀처럼...
당신이 몰랐던 풍수해보험의 모든것교내 특성화사업단 단일학과 리빙랩 프로젝트 농사를 업으로 삼아 살아가는 이들이 많은 전라북도는 자연재해에 의한 시름이 끊이지 않는...
올바른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다교내 특성화사업단 단일학과 리빙랩 프로젝트 사람에게 생애주기가 있듯, 도시에도 도시 확장 주기가 존재한다. 시가지가 형성되고 포화 상태에...
우리네 엄마들의 건강한 노후를 위하여교내 특성화사업단 단일학과 리빙랩 프로젝트 ‘여기 쑤시고 저기 결리고’ 우리네 어머니며 할머니들이 몸의 온갖 통증을 호소하는...
마을 공동체를 풍요롭게 키우는 재생교내 특성화사업단 지역전략(학과연합) 리빙랩 프로젝트 한 마을에 자생 가능한 경제 생태계를 꾸리고 공동체의 탄탄한 결속을 이룩하려면...
모두가 건강한 지역사회를 꿈꾸며교내 특성화사업단 지역전략(학과연합) 리빙랩 프로젝트 세상은 공평하지 않다. 누구나 각기 다른 수저를 물고 태어난다는 ‘수저론’이 세간의 입에...
상상이 현실로, 캠퍼스가 진화하다교내 특성화사업단 지역전략(학과연합) 리빙랩 프로젝트 하루가 멀다 하고 첨단기술이 속속 등장하는 디지털시대. 어릴 적 공상과학영화에서 보았던 미래도시는...
조선왕조의 향취, 그윽이 티타임에 스미다학생지원 창업동아리 본디 차(茶)는 고려의 문화로 유명하다. 화려한 귀족 문화에 걸맞게 다채로운 차 향을 즐겼던 고려와...
삶을 부어둔 살롱, 사유를 채집하는 매거진학생지원 창업동아리 ‘샬롱’은 유럽에서 응접실을 일컫던 말로, 주로 상류층이 사교·예술 교류를 펼치며 문화를 꽃피우던 공간을...
예술로 더 나은 세상을 디자인하다학생지원 소셜벤처 프로젝트 사회 문제를 예술의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는 공공미술의 영역에서 다채롭게 시도되고 있다. 게다가...
사회적경제의 비전을 유튜브로 조명하다학생지원 소셜벤처 프로젝트 사회적경제가 화두다. 부의 독식을 막고, 지역 공동체의 고른 번영을 지탱할 수 있는 사회적경제의 잠재력은...
매혹 깃든 품새로 지역의 비전을 공연하다학생지원 소셜벤처 프로젝트 태권도의 종주국은 한국이며, 그 한국 안에서도 태권도의 종가라 할만한 곳이 전북이다. 탄탄한...
학우들을 위한 믿음의 장터를 개발하다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당근이세요?’ 라며 수줍은 질문을 건네는 사람을 본 적 있는가? 그렇다. 2020년 중고시장을 지배한...
불안까지 방역 가능, 아르바이트를 위한 갑옷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서비스직은 슬프다. 감정 노동은 기본이고, 요즘같은 팬데믹 상황에서는 감염의 위협까지 ‘패시브’로 겪는다....
비대면 시대를 위한 제대로 된 강의 가이드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이제는 너무 익숙해진 비대면 생활이지만 그저 낯설지 않게 되었을 뿐, 정확...
버려진 플라스틱을 아기자기한 잇템으로!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플라스틱이 자연 분해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최소 수백 년. 여기 글을 읽는 당신이 손자 손녀를...
플라스틱, 환경보전의 공든탑이 되다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어떤 사회 문제라도, ‘눈으로’ 확인하는 것 만큼 확실한 문제 제기 방식이 또 있을까? 교내에...
반려동물이여, 먹으면서 치유하라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동물은 소중한 가족이다. 가족이 늙고 병들기 전, 이를 예방할 좋은 먹거리가 있다면 누구나 환영하지 않을까....
로컬푸드, 맛의 와일드 카드가 되다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어느덧 로컬푸드는 우리 일상에 빼놓기 힘든 대표 건강 먹거리가 되었다. 지역에서 나고 자란...
학생 영화인들을 위한 등용문을 만들다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아카데미 4관왕에 빛나는 『기생충』을 필두로 수많은 한국 영화가 세계의 상영관을 점령해나가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우리의 고독이기에, 외면하지 않았다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 우리는 죽음의 당위성만큼, 인생의 마지막 프레임에 불편함을 곁들이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세상을 잊는 아픔, 심장으로 달래다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자아의 상실. 누군가는 치매를 이렇게 표현했다. 나라는 존재가 한 토막씩 무無로 증발하는 과정을...
지속 가능한 청년 창업의 요람을 세우다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인생의 황금기라는 청년 시절. 하지만 역설적으로 청년은 소위 ‘N포세대’로 통하며 우리 사회에서...
사람은 누구나 다, 문화로 하나가 된다학생지원 리빙랩 프로젝트 인간에게 문화는 공동체를 대표하는 정체성이며, 한 개인을 특징하는 정서적 지문이다. 이토록 새김이...
'지속가능한 발전' 팀 독수리오자매’ 팀 '상세섬' 팀 '콩가루집안' 팀 '한식홍보단' 팀 '전주대를 말하다' 팀